추석 연휴 5일 동안 집 밖으로 나가지 않고 하루종일 붙잡고 읽어서 겨우 끝낼 수 있었다. 내용이 어렵지는 않았으나 분량이 워낙 많고 인명/지명이 익숙치 않아 오래걸릴 수밖에 없었다. 투퀴디데스는 아테나이-아테나이 동맹국과 스파르테(라케다이몬)-스파르테 동맹국 간의 지리멸렬한 전쟁을 연대기 순으로 작성했다. 이 이야기는 전쟁이 일어나기 직전의 상황부터 시작하여 기원전 411년에서 갑자기 끊긴다. 즉, 미완인 책이다. (펠로폰네소스 전쟁은 기원전 431년~404년까지다.) 중간중간 투퀴디데스의 생각이 직접적으로 기술되기도 하지만, 거의 대부분은 전쟁과 관련한 사실들의 나열이다. 그럼에도 지루하지 않는 이유는 긴 영화 한 편을 보는 듯한 전투 묘사와 전쟁터에서 장군들의 연설, 각국의 사절단들이 오가며 쏟아내..
이 책은 한국 근현대사를 겪어온 15명의 여성들을 인터뷰 한 시리즈의 첫번째 책이다. 인터뷰라고는 하지만, 여느 평범한 책들처럼 묻고 답하기만 한 단순 인터뷰가 아니다. 저자가 능수능란하게 인터뷰 대상의 구술을 이끌어내고, 그것을 또 편집/가공하며 마지막엔 분석까지, 그야말로 완벽하다 싶을 정도다. 애석하게도 나는 이 책을 비판하지 못하겠다. 왜냐하면 저자의 의도와 목적에 절절히 공감했기 때문이다. 간단하게 개인적인 감상을 적어보자면,,, 퇴근 후에 조금씩 읽었는데, 매일밤 할머니들의 살아오신 이야기를 듣는 기분이었다. 하지만 그리 유쾌하게 술술 읽히진 않았다. 눈 앞이 흐려지고 목이 메어서 읽고 덮고 하기를 반복했다. 이성적인 성격이라 웬만한 거에는 울지 않는데, 이 책에는 여지없이 무너졌다. 전태일 ..
책이 나오기도 전에 예약주문으로 구입했던 기억이 나는데, 이제서야 완독했다. 자극적인 제목의 책은 기피하는 편인데도 "김동춘"이라는 이름만 보고 목차도 리뷰도 보지 않고 무조건 질렀다. 사실 "잔혹사"라는 단어가 들어간 책 제목이 자극적이라고 말하기에는 우리 근현대사의 실상이 그랬기에.. 오히려 적절한 제목이라고 하는 것이 나을 것이다. 앞뒤 보지 않고 지른 책이었지만, 역시나 기대를 벗어나지 않았다. 감상평은 길게 이렇다 저렇다 쓰는 것보다 그냥 짧게 한 마디만 쓰고 싶다. 현재 우리나가 이런 모습을 갖추기까지 어떤 일들이 있었는지, 왜 이 나라가 이 모양 이꼴인지 알고 싶다면, 이 책을 꼭 읽어보길 바란다. 아래 인용은 책에 있는 저자의 글 중에 정말 절절히 공감했던 부분이다. 모든 인간은 우선 자신..
읽은 지 꽤 됐는데 이제야 감상을 올린다. 상당히 얇은 두께에 내용은 알차게 재밌다. 구한말 개화자강파,애국계몽세력의 저항논리를 민족사학의 시각이 아닌 정치사상사를 바라보는 관점에서 서술한 책이다. 그들의 저항이라고 하는 것은, 전자의 시각에서 보면-비록 사회진화론과 동양평화론의 이중성에 잘못 넘어가면 위험할 수도 있지만-기본적으로 민족을 최우선하여 일제에 대항한 것이었고, 후자의 시각에서 보면 자유주의 사상에 입각한 특정 계급의 이권 수호에 불과한 것이었다. 저자는 그 자유주의가 민족주의와 민주주의와는 전혀 다른 종류의 것으로, 지금의 신자유주의와 다르지 않다고 한다. 흥미로웠던 부분은 민권 사상에 대한 관점이었다. 자유주의의 민권 개념은 "개인들의 재산, 생명, 자유의 보호이며, 사회의 대다수를 차지..
자극적인 제목과는 달리, 다소 밋밋하게 읽혔던 책이다. 저자는 세계사의 수많은 예를 들면서 이야기를 하고 있는데, 그 예가 90%를 차지한다. 물론 예들이 의미없다거나 지루하지는 않다. 그러나 일일히 열을 올리면서 독후감을 쓸 정도로 새로운 사실이나 치열한 고민과 갈등이 보이는 책은 아니다. 마거릿 맥밀런이 여기서 하고자 하는 말은 마지막 문장 하나에 잘 요약돼 있다. 요컨대, 내가 들려주고 싶은 조언은 이것이다. 역사를 사용하고 즐기되, 언제나 신중하게 다루어라. (249ㅉ) 다만, 저자의 민족주의에 대한 언급과 옮긴이의 한국사에 대한 시각은 상당히 불편했다. 잘못 받아들이면 위험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저자의 출신이 어디인지, 그들 나라와 한국의 역사적 차이가 무엇인지를 간과해서는 안된다.
『한국근대사강의』와 더불어 한국근현대사학회에서 나온 개설서 짝꿍(?)이다. 한국근대사강의에서는 1860년대부터 1910년 경술국치까지의 시기를 다뤘다면, 여기에서는 1910년부터 1945년 해방을 맞이할 때까지의 시기를 다뤘다. 여기서는 한일강제합방 조약이 체결되기 이전, 제국주의 열강의 침략 속에서 반식민지 상태를 극복하기 위해 펼쳤던 운동을 구국운동이라 칭하고, 구국운동의 큰 줄기를 애국계몽운동과 의병전쟁으로 보고 있다. 이 책의 주요 특징은 1910년 이후의 독립운동이 이들 애국계몽운동과 의병전쟁을 계승한 것이라는 기본적인 인식 하에서 국내와 국외의 주요 독립운동을 유기적으로 서술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독립운동가들의 목표는 하나 같이 조국의 독립이었으나, 광복 이후 새정부의 정치체제와 사회상에 ..
이틀을 계획하고 읽었는데, 사전과 인터넷 검색을 하면서 정독을 하다보니 계획보다 하루 더 걸렸다. 이 책의 내용에 대해서는 따로 특별히 논할 건 없는 것 같다. 사실 세부적으로 들어가자면 근대사의 기점에 대한 논의부터 시작해서 부여한 명칭에 내포되어 있는 이념적 색과 각 사건들에 대한 역사적 평가 등등 논쟁거리는 한도 끝도 없다. 그런 것들은 차치하도록 하고, 한국 근대사에 관심이 있거나 제대로 공부하고자 하는 사람들을 위해 간단한 책 소개와 읽을 때 주의사항, 팁을 주고자 한다. 일단 이 책은 '근대사'강의다. 근대사의 기점은 서문에서 말하고 있듯이 1860년대부터 한일강제병합 때인 1910년대까지 잡고 있다. 고종 즉위년이 1863년이니까 대략 어디쯤인지는 짐작 가능할 것이다. 이 책은 비교적 어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