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집서버에 기존에 설치되어있던 5.6버전을 모조리 지우고, 8버전을 설치했다. 어짜피 테스트용 DB였기 때문에 delete and install이 크게 문제되지 않았다. 이번에도 역시 mysql은 개인 개발 테스트 용도로 쓰일 예정. 1. Delete old version 1-1. mysql 버전 확인 yum list installed | grep mysql 1-2. mysql 삭제 yum remove -y mysql-community-* 1-3. mysql 폴더 삭제 rm -rf /var/lib/mysql 2. Install new version 2-1. yum repository 등록 yum install -y https://dev.mysql.com/get/mysql80-community-release..
1. MySQL 설치 (5.6) 1-1. yum repository 추가 repository 다운로드 사이트로 이동 ☞ http://dev.mysql.com/downloads/repo/yum/ Red Hat Enterprise Linux 7 / Oracle Linux 7 (Architecture Independent), RPM Package 옆에 있는 Download 버튼을 클릭하여 rpm 파일을 다운로드 받는다. 혹은, # rpm -Uvh http://dev.mysql.com/get/mysql-community-release-el7-5.noarch.rpm 위의 명령어로 바로 리눅스 서버에서 다운로드 및 repository 추가를 한다. 첫번째 방법으로 다운로드 받았을 경우에는 FTP를 이용해 rpm파일..
한다 한다 해놓고 미뤄왔었는데, 이제서야 정리한다. 라이브러리 관리툴로는 maven을 사용한다고 전제한다. Gradle이나 다른 툴을 사용한다면 http://mvnrepository.com에서 검색해서 집어넣자. pom.xml org.springframework spring-jdbc 4.1.6.RELEASE org.springframework spring-orm 4.1.6.RELEASE org.mybatis mybatis 3.3.0 org.mybatis mybatis-spring 1.2.2 commons-dbcp commons-dbcp 1.4 mysql mysql-connector-java 5.1.35 com.oracle ojdbc14 10.2.0.4.0 mesir-repo http://mesir.go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