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집서버에 기존에 설치되어있던 5.6버전을 모조리 지우고, 8버전을 설치했다. 어짜피 테스트용 DB였기 때문에 delete and install이 크게 문제되지 않았다. 이번에도 역시 mysql은 개인 개발 테스트 용도로 쓰일 예정. 1. Delete old version 1-1. mysql 버전 확인 yum list installed | grep mysql 1-2. mysql 삭제 yum remove -y mysql-community-* 1-3. mysql 폴더 삭제 rm -rf /var/lib/mysql 2. Install new version 2-1. yum repository 등록 yum install -y https://dev.mysql.com/get/mysql80-community-release..
현재 아이폰을 사용하고 있는데, 용량이 적어서 icloud나 네이버 클라우드에 백업을 하곤 했다. 근데 이번에 icloud가 용량이 부족하다고 용량을 늘리라는 알림이 떴다. 한 달에 얼마를 결제하면 용량을 늘려준다나. '뭐야 돈내야 돼? 그것도 다달이?? ㅠㅠ... 가만... 나 집에 서버있는데 그걸로 아이클라우드 만들면 되잖아? +_+' 그래서 이것저것 오픈소스를 알아보던 중... owncloud / pydio / elFinder / h5ai 등이 있다는 걸 알게 됐다. 이중에 앱도 되고 디자인도 이쁜 owncloud를 설치하기로 결심. 사실 이녀석과 초면도 아닌 게.. 이전 회사에서 일할 때, 팀 동료가 이걸 설치해서 사용하는 걸 본 적이 있었다. 물론 그땐 내가 설치한 게 아니고, 다 되어 있는 것..
1. MySQL 설치 (5.6) 1-1. yum repository 추가 repository 다운로드 사이트로 이동 ☞ http://dev.mysql.com/downloads/repo/yum/ Red Hat Enterprise Linux 7 / Oracle Linux 7 (Architecture Independent), RPM Package 옆에 있는 Download 버튼을 클릭하여 rpm 파일을 다운로드 받는다. 혹은, # rpm -Uvh http://dev.mysql.com/get/mysql-community-release-el7-5.noarch.rpm 위의 명령어로 바로 리눅스 서버에서 다운로드 및 repository 추가를 한다. 첫번째 방법으로 다운로드 받았을 경우에는 FTP를 이용해 rpm파일..
참고한 사이트 ☞ http://www.linuxtechi.com/install-apache-subversion-svn-centos-7/http://svnbook.red-bean.com/en/1.7/svn.ref.svn.c.delete.html 1. yum으로 install # yum install httpd subversion mod_dav_svn 2. 설정 파일 수정 # vi /etc/httpd/conf.modules.d/10-subversion.conf LoadModule dav_svn_module modules/mod_dav_svn.soLoadModule authz_svn_module modules/mod_authz_svn.soLoadModule dontdothat_module modules/mod..
집에 서버를 구성하고나서 불과 며칠이 지나지 않아 로그인 시도가 7천번 가까이 있었다. ㄷㄷ /var/log/secure로 접속 아이피를 찾아서 조회해보니 죄다 중국쪽으로 찍힌다..;; 우회한 건지 직접 접속 시도한 건지는 모르겠지만... 중국 정말 싫다 ...... 앗 뜨거 하고, 이래선 안되겠다는 생각에 바로 보안 설정에 들어갔다. 1. SSH 포트 & 프로토콜 변경 # vi /etc/ssh/sshd_config # If you want to change the port on a SELinux system, you have to tell# SELinux about this change.# semanage port -a -t ssh_port_t -p tcp #PORTNUMBER#Port 1234#Add..
1. 톰캣 다운로드 /usr/local로 이동,wget으로 tar.gz 파일을 다운로드 받는다. 다운로드 링크 주소는 여기서 얻는다→ http://tomcat.apache.org/download-80.cgi# wget http://apache.tt.co.kr/tomcat/tomcat-8/v8.0.26/bin/apache-tomcat-8.0.26.tar.gz 2. 압축 해제# tar -zxf /usr/local/apache-tomcat-8.0.26.tar.gz 3. Jsvc 빌드(선택사항)# cd /usr/local/apache-tomcat-8.0.26-src/bin# tar xvfz commons-daemon-native.tar.gz# cd commons-daemon-*-native-src/unix# ...
6.x 버전에서는 iptables로 포트포워딩을 해줬지만, 7.x 버전부터는 설정 방법이 좀 다르다. * 방화벽 실행 여부 확인# firewall-cmd --state * 사용 가능한 모든 포트 목록 조회# firewall-cmd --zone=public --list-all * 포트 추가# firewall-cmd --permanent --zone=public --add-port=80/tcp # firewall-cmd --permanent --zone=public --add-port=80-90/tcp (포트 대역 오픈) * 포트 삭제# firewall-cmd --permanent --zone=public --remove-port=80/tcp * 방화벽 재시작# firewall-cmd --reload --p..